대학의 ‘건축학과’에서 어떤 공부를 하는지, 건축가가 되기를 꿈꾸는 학생들이 대학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세상에 배출되는지를 선명하게 보여주는 책이다. 전국 대학 건축학과 순위 1위, 전공별 세계 대학 랭킹 34위인 서울대 건축학과 출신 웹툰 작가 김지우가 펴냈다.
5년제인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려면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수업이 있다. 5학년 1학기 개강과 동시에 여름방학까지 반년 이상을 바치는 ‘졸업 설계 프로젝트(졸업전)’다. 앞선 4년간 학생들은 교수가 정해준 과제, 이에 맞춘 친절한 가이드라인과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서로서로 참고하면서 과제를 해석하고 설계를 한다. 내비게이션이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졸업 설계’는 다르다. 어떤 가이드라인도 없다. 스스로 주제를 구상하고 결정하는 것을 시작으로 계획을 수립, 적합한 터를 직접 골라야 하고, 왜 그런 용도여야 하는지를 설득해야 하며, 개념을 만드는 프로그램도 알아서 짜야 한다. 이를 구체적인 공간 형태로 완성할 때까지 모두 혼자 힘으로 운영해야 한다. 심지어 매 수업 시간마다 평가와 논쟁을 반복한다.
학생 입장에서는 대단히 부담스럽고 괴로운 과정이다. 아무리 잘한 학생일지라도 “이제 됐다”는 말을 듣는 법이 없다. 언제 어디에나 허점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서울대 건축학 교실의 열린 수업 ─ 크리틱에는 반짝이는 청년 17명이 반년간 고민하며 노력한 도전의 시작과 끝, 그 과정에 대한 기록이 담겼다.
2007년 서울대 건축학과에 입학했다. 배우면서 건축을 알고 사랑하게 되었으나 실상은 건축학과 학교생활 자체를 더 사랑했다. 남보다 늦게 스물다섯까지 입대를 늦추며 졸업전을 완수했고, 9년간 학교에 머물다 2016년에 졸업했다. 많은 사람이 모여 사는 도시 환경에 관심이 많으며, 도시가 아름다우려면 예쁜 건물이나 푸른 녹지 이전에 다양한 계층이 어울리는 것이 우선이라는 선언을 담아 졸업 작품을 발표했다. ‘도심에서 지속 가능한 강소 주거’로 서울시 강소 주택 학생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금상을 수상했다.
일반인이 자유롭게 건축을 배우고 접하는 기회를 넓히는 데 관심이 많다. 이와 관련해 ‘건축’이 아닌 ‘건축 교육’, 즉 ‘건물’이나 ‘디자인’이 아니라 인간과 사물을 탐구하고 아이디어를 최종 형태로 구체화하는 과정, 수많은 사람과 함께하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에 주목한다. 건축 덕분에 넓어진 시야로 끊임없이 다양한 표현 방법을 찾고 활용하며, 3D 프로그램을 이용해 웹툰 [건축학과 1학년]을 그렸다.
여는 말 건축학과와 졸업전, 그리고 끝없는 ‘까임’에 대하여
읽기 전에 등장인물 / 이야기 구성
I. 도시의 자연 문제
1-1 Stitching the Blank 연결의 전이 공간
1-2 Contouring Neighborhood 도시와 자연 통합
1-3 비껴가기+함께 살기 복개 지상 건축물과 복원 하천의 공존
II. 도시의 공공 건축 문제
2-1 종로구청사 재건축 공공 건물의 새로운 역할
2-2 In-between City 거리로 걸어나온 공공 공간
2-3 Vertical Open Space 고밀도 속 오픈 스페이스
2-4 The Second Chance 낡은 것과 새로운 것의 균형
2-5 아이들의 건축 아이의 입장에서 본 도시
2-6 URBAN LOBBY 도시의 로비로서의 공공 주차장
2-7 Now Here 이동 장애인을 위한 공간
─ 쉬어가는 페이지 건축학과의 5년
III. 도시의 상업 건축 문제
3-1 낙원상가 리노베이션 주변과 공존하는 메가스트럭처
3-2 COMBination 새로운 시장의 가능성
3-3 도시 상업 건축 도시와 소통하는 상업 건축
3-4 잡거 빌딩-근린 생활 시설 블록 계획 사유 건물의 공공성
IV. 도시의 주거 문제
4-1 도시 조각 연합 지속 가능한 B급 주거
4-2 Social Meeting Place 사회 계층의 소셜 믹스
4-3 Private City, Public Home 1인 가구의 도시적 공동체
더하는 말 나는 이 책에 나오는 K교수다
닫는 말 졸업, 졸업전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