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상세보기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조경숙> 저 | 휴머니스트

출간일
2023-06-26
파일포맷
ePub
용량
73 M
지원기기
PC스마트폰태블릿PC
현황
신청 건수 : 0 건
간략 신청 메세지
콘텐츠 소개
저자 소개
목차
한줄서평

콘텐츠 소개

“기술과 여성이 만나면 이런 비판과 통찰
그리고 이런 희망이 가능하다!”

테크 페미니스트의 시선으로 소수자에게,
결국 시민 모두에게 열린 기술을 모색하다


“이번 생이 안 된다면 다음 생에 여성 개발자로 태어나 쓰고 싶던 책이 바로 여기 있다. 기술과 인간의 공존을 원한다면 이 책부터 읽어야 한다.”
- 임소연(『신비롭지 않은 여자들』 지은이, 동아대학교 기초교양대학 조교수)

챗GPT의 공개로 인공지능의 새 시대가 열린 것처럼 보이는 지금, 기술진보가 다시 한번 세상을 바꿀 기세다. 이에 편승해 ‘빅테크 기업’의 주가가 다시금 상승세를 타고 있고, 많은 사람이 최신 기술로 어떻게 돈을 벌 수 있을지 궁리를 거듭하고 있다. 기술이 공기처럼 우리 일상에 깊숙이 스며든 시대이니, 이런 현상이 펼쳐지는 것도 당연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IT 서비스와 선망의 눈빛으로 바라보는 테크 기업을 다른 시선으로 보면 많은 것이 달라진다. 여성 청소년들이 랜덤채팅 앱 때문에 피해를 입어도 서비스 제공 업체들은 ‘기술의 중립성’ 뒤로 숨는다. 여성들이 젠더폭력에 맞서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해놓아도 국가기관은 이를 방치하기만 한다. 테크 업계는 ‘압박을 견뎌내는 것도 능력’이라며 가혹한 노동환경을 개인이 돌파해야 할 몫이라고 강변하고, 남성 엔지니어들의 독성 말투와 여성 개발자 차별을 ‘실력’이라는 명분으로 정당화한다. 기술을 ‘전지적 여성 시점’으로 바라볼 때 우리 앞에는 전혀 다른 모습이 펼쳐지는 것이다.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는 테크-페미 활동가인 지은이가 여성-노동자로서 살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엮은 테크 업계 관찰기다. 그는 이 책을 통해 여성을 비롯한 소수자가 테크 업계와 IT 서비스 바깥으로 밀려나는, 말 그대로 ‘액세스가 거부되는’ 장면을 조망한다. 디지털 성폭력을 조장하는 IT 서비스, 터무니없이 부족한 젠더데이터, 테크 업계에 만연한 독성 말투와 48시간 안 자고 일하는 게 당연한 근로조건까지, 서비스 최적화를 위해 배제되고 희생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차근차근 들여다본다. 독자들은 테크 업계에 자리 잡은 지 오래지만 여전히 잘 드러나지 않았던 여성들의 목소리를 통해 ‘모두를 위한 기술’을 새롭게 찾아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저자소개

만화 평론가. 성균관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2013년 인문만화교양지 ≪SYNC≫에서 그래픽노블 리뷰를 연재했다. 2015년부터 ≪주간경향≫ ‘만화로 본 세상’ 칼럼을 통해 사회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다룬 만화들을 소개하고 있다. 2012년 한국콘텐츠진흥원 주관 제5회 게임비평상 공모에서 우수상을 받았고, 2019년 한국콘텐츠진흥원 주관 만화평론 공모에서 기성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2018년 독립 연구를 위한 ‘연구자-후원자’ 프로젝트에 선정되어 박희정 기록활동가와 함께 ‘코믹스 페미니즘: 웹툰 시대 여성 만화 연구’를 썼다. 저서로 『아무튼, 후드티』(2020)가 있으며, 만화 평론가 동료들과 함께 합정만화연구학회를 꾸려 활동하고 있다.

개발자로서 IT 회사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해 몇몇 회사를 거쳐 지금은 공공기관에서 일하고 있다. 십대여성인권센터 IT지원단 women do IT팀 활동가, 테크-페미 액티비스트로도 활동하고 있다. 독립연구자로서 합정만화연구학회를 꾸리는 만화평론가이기도 하다. 꽤 복잡한 일상을 살고 있지만, 지금껏 그래왔듯 ‘ 후드티 입은 여자는 어디든 간다’ 는 믿음으로 하루하루를 충실하게 채우고 있다.

목차

들어가며_세상을 바꾸는 건 기술이 아니라 관점이다

1부. 전지적 여성 시점으로 본 IT 서비스

01. “이거 안 되는데요?” 개발자 ‘독성 말투’의 이면
‘비전공자’가 테크 기업에 들어갈 수 있었던 이유
스트레스 관리마저 일하는 사람의 몫이라니
‘압박을 견뎌내는 것도 능력’이라는 말의 함정

02. IT 서비스에도 중립은 없다
문제는 서비스를 어떻게 설계하느냐다
디지털 성폭력을 조장하는 IT 서비스들
새로운 서비스에는 새로운 위험성이 따른다

03. 신비롭지 않은 기술들
서비스 장애보다 그 후의 태도야말로 치부다
기술이 ‘구름 위에’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04. 우리에게는 더 많은 젠더데이터가 필요하다
신당역 여성살해 사건이 드러낸 젠더데이터 공백
데이터 사이로 들리는 여성들의 외침
이런데도 왜 젠더폭력이 아니란 말인가

05. 이미지에도 젠더편향이 있다
성차별에서 시작된 이미지 기술의 역사
검색 결과는 ‘성적 대상화’입니다
이미지는 사회를 인식하는 참조점이다

06. 낙관하기도 비관하기도 이른 인공지능
감정노동 없이 물어볼 수 있는 사수, 챗GPT
기계의 윤리적 태도를 위해 희생되는 건 누구일까
우리는 챗GPT를 어떻게 대해야 할까

07. 누구를 위한 웹 접근성인가
‘누구나 온라인에 접속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이념
모두를 위한 서비스를 찾는 길은 여전히 쉽지 않지만
나의 해방이 당신의 해방과 연결될 수 있도록

08. 서비스에도 끝이 있다
서비스를 닫을 때도 사용자를 고려해야 한다
사라질 서비스를 아카이브한다는 것의 의미

2부. 업계 한복판에서 체감하는 테크 노동의 현실

09. ‘개발진’으로 시선을 옮길 때 드러나는 존재들
여성들이 현업에 있어도 가려지는 현실
개발자에서 개발진으로 시선을 옮겨야 할 때

10. 48시간 정도, 안 잘 수 있나요?
낮에도 일하고 밤에도 일하는 사람들
서비스의 연속성을 위해 삶의 연속성을 희생해도 괜찮은가
‘야간작업을 하기 싫어서’가 아니다

11. ‘네카라쿠배’라는 새로운 입시
“네카라쿠배 입사시켜드립니다”
말이 사전과제지 실상은 무급노동
누가 실력을 규정하고 이용하는가

12. 왜 테크 업계는 대량해고를 밥 먹듯 할까
정리해고가 일상적인 테크 업계의 풍경
낙관주의의 결과를 감당하는 건 누구인가

13. 불안과 시간빈곤이 그리는 러닝커브
열정착취의 다른 이름, 러닝커브
시간조차 사람마다 평등하지 않다
불안에 잠식된 시간을 이제는 끝낼 수 있을까

14. 유연근무제는 일·가정 양립에 도움이 될까
마미트랙이라는 허상과 차별
재택근무가 만능일 수 없는 이유
유연근무가 일·가정 양립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15. 커뮤니티는 나의 힘
페미니즘을 안전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커뮤니티
나의 외연을 넓히는 커뮤니티
우리의 장르는 성장물이 아니니까

나가며_우리는 모두 무언가를 유지보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