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곡가 클로드 드뷔시는 비록 56년이라는 그리 길지 않은 시간을 이 땅에 머물렀지만〈야상곡Trois Nocturnes〉, 〈목신의 오후 전주곡〉,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장드〉와 같은 작품으로 음악사에 매우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그는 당시 유럽을 휩쓸던 바그너의 장대한 음악과 구별되는 또 다른 음악, 프랑스 음악의 기치를 내걸었으며, 작품뿐 아니라 다양한 음악 평론을 발표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피력했고, 스테판 말라르메의 살롱에 드나들며 상징파 시인, 인상파 화가 등 당대의 인물들과 교유했다.
《안티 딜레탕트 크로슈 씨》는 그가 가장 활발하게 평론 활동을 펼치던 시절 〈라 르뷔 블랑슈〉, 〈라 뮈지카〉, 〈르 피가로〉, 〈르 주르날 드 파리〉 등 여러 매체에 기고한 글들을 모아 엮은 음악평론집이다. 1921년에 처음 출간되어 그보다 3년 전 제1차 세계대전 중인 1918년에 사망한 작곡가 본인은 정작 이 책의 탄생을 지켜보지 못했지만, 책 속에 담긴 이 비범한 작곡가의 정신은 백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 광채를 잃지 않았다.
프랑스 인상주의 음악의 대표적인 작곡가다.
그의 주요 작품으로는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 바다, 피아노 전주곡, 영상 1, 2집, 어린이 차지,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모음곡 <베르가마스크> 중 달빛 등이 있다.
클로드 드뷔시는 1862년 일드프랑스 이블린 주 생제르맹앙레에서 다섯 남매 중 첫째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도자기 가게 주인이었고, 어머니는 재봉사였다. 그는 7세 때 그보다 나이가 많은 체루티라는 이름의 이탈리아 아이와 함께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다. 드뷔시의 레슨비는 그의 아주머니(aunt)가 지불했었다. 1871년에 수줍고 겁많은 소년 드뷔시는 마리 모테 드 플레비유(Marie Maute de Fleurville) 부인에게 주목받았다.
자신의 재능을 확실하게 보여준 덕분에, 1872년 11살의 나이로 드뷔시는 파리 음악원에 입학하였고, 1872년부터 1884년까지 세자르 프랑크, 에르네스트 기로(프랑스어: Ernest Guiraud)과 함께 공부하였다. 재학 중에 러시아 음악과 무소르그스키의 작품을 접한 것이 이후의 작품에 크게 영향을 주었다.
1883년, 칸타타 《전투사(Le Gladiateur)》로 로마 대상(Prix de Rome) 2등상을, 이듬해인 1884년, 역시 칸타타 형식의 《탕자(L' Enfant Prodigue)》로 1등상을 수상하였다.[2] 수상 이후 1887년, 말라르메의 살롱에 출입하였다. 이때 상징파 시인 및 인상파 화가와의 접촉에 의해 차츰 인상주의 음악에의 의식이 깊어졌다. 말라르메의 시에 의한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으로 그의 인상파풍의 작품 경향은 확정되었다.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장드》에서는 반 바그너적 성격이 더욱 뚜렷해졌다.
1899년 10월 19일 로잘리 텍시에(Rosalie Texier)와 결혼했지만 1904년 엠마 바르닥(Emma Bardec)과 사랑에 빠져 아내를 버리고 엠마 바르닥과 결혼하였다. 이후 드뷔시와 엠마 바르닥 사이에서 딸 클로드-엠마(Claude-Emma)가 태어나게 된다. 드뷔시는 1908년 딸인 클로드-엠마에게 피아노 소품인 어린이 차지를 헌정한다.
제1차 세계대전 말인 1918년 3월 25일 오후 10시, 독일군의 폭격이 한창인 시기에 드뷔시는 파리에서 10년 동안 고통 받아왔던 암으로 사망하였다. 그의 장례식은 3월 28일에 거행되었고 페르 라셰즈 묘지에 매장되었다가 후에 지금의 파리 묘지로 이장되었다.
1928년에 발간된 영문판 서문
1부 안티 딜레탕트 크로슈 씨
1 안티 딜레탕트 크로슈 씨
2 로마대상과 생상스에 대하여
3 교향곡
4 무소륵스키
5 폴 뒤카스의 소나타
6 비르투오소
7 오페라극장
8 니키슈
9 마스네
10 야외음악
11 회상
12 장 필리프 라모
13 베토벤
14 민중극장
15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16 리하르트 바그너
17 지크프리트 바그너
18 세자르 프랑크
19 망각
20 그리그
21 뱅상 당디
22 리히터
23 베를리오즈
24 구노
25 글루크 기사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2부 그 밖의 글들
나는 왜 [펠레아스와 멜리장드]를 만들었나
취향에 대하여
옮긴이의 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