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동요집(朝鮮童謠集)》은 ‘우리나라 최초 동요집’으로 1923년(창문사 刊)에 처음 발간된 것이며 전국 각지의 구전으로 전해지는 동요를 수집해 엮은 것은 이 책이 처음인 것으로 평가받는 작품이다.
저자가 서언에 밝힌 대로 ‘조선의 동요를 연구함에는 이런 종류의 서적이 한 종류도 없다’고 했듯이 조선의 동요를 처음 이 한 권으로 엮었으며, 구성은 동요 80편과 외국 동요 6편을 부록으로 실었다.
판본 그대로 전문을 실었으며 원문은 모두 현재 어휘로 모두 풀어썼다. 단지 사투리나 특징적 어휘 등은 훼손하지 않고 원문에 충실하였다. 단 음보 등에 따라서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다. 한문과 한글을 병기하였고 주해를 달았다. 또한 한두 부분은 임의로 수정하였다.
<저자소개>
* 엄필진(嚴弼鎭)(1894-1951)
교사
충북 영동 출생
교원생활
저자소개
서언(序言)
삽화
제1부
1. 자장가(滋長歌)<전국>
2. 놀러가자<경성>
3. 어린 애기<마산>
4. 노리개<나주>
5. 별(星)(태전)
6. 수차(물방아水車)<강계>
7. 베 짜는 어머니<춘천>
8. 초생(初生)달<고성>
9. 아가 아가<충주>
10. 달궁 달궁<횡성>
11. 붕어신랑<대구>
12. 비(雨)<경성>
13. 달팽이(蝸牛)<인천>
14. 아리랑 아리랑<상주>
15. 시집살이<웅천>
16. 문 열어라<개성>
17. 명주애기<선천>
18. 할미꽃<고양>
19. 나는 싫소<북청>
20. 달(月)<전국>
21. 나비(蝶)<진주>
22. 내 어머니 젖맛<성천>
23. 소꿉놀이<김천>
24. 시집을랑 가지마오<함흥>
25. 춘경(春景)<해주>
26. 청포장사<전주>
27. 바늘<창원>
28. 미나리<안악>
29. 외딸 아기<은율>
30. 잠자리(蜻蜓)<경성>
31. 기러기<용산>
32. 울지마라<의주>
33. 밤(栗)<청주>
34. 쾌지랑칭칭 노네<대구>
35. 어린 동생<수원>
36. 댕기<영동>
37. 점심고리<음성>
38. 저기 가는 저 나비<무주>
39. 조금 조금 더 살더면<평양>
40. 봄(春)<보령>
41. 석류 한 쌍<여수>
42. 연세 높은 탓<용천>
43. 형님 온다<진남포>
44. 꽃노래<창원>
45. 비가오네<평강>
46. 베틀노래<서선>
47. 금비들기<경남>
48. 달맞이<공주>
49. 청개구리(蝦蟆)<의주>
50. 기러기<경성>
51. 주머니<평원>
52. 꿀-꿀<횡성>
53. 쌈말고 잘 놀아라<백천 염근수>
54. 낭(囊)<안동>
55. 파랑새<마산>
56. 봄<경성>
57. 뽕<호남>
58. 개똥불(螢火)<호남>
59. 달구재비<김천>
60. 편지오네<영동>
61. 가지마라<이천>
62. 날 찾거든<의령>
63. 잠<봉화>
64. 까치<경성>
65. 옥동처자(玉童處子)<마산>
66. 청실홍실<경주>
67. 손이 와서<목포>
68. 노랑까치<통영>
69. 오실랑가<광주>
70. 눈(雪)<회령>
71. 딸 나거든<함안>
72. 애어멈아<철원>
73. 장모(丈母)<울산>
74. 염불선(念佛船)<동래>
75. 어서가자<해주>
76. 봄이 되면<청진>
77. 원의 아들<하동>
78. 영화(榮華)로세<부산>
79. 소꼽밥<경성>
80. 안빈낙도가(安貧樂道歌)<조선>
제2부(부록)
-각국동화
1. 혀 잘린 참새(舌切雀)<일본>
2. 자장가(子守歌)<일본>
3. 낚시(釣魚)<중국>
4. 적은 시계<영국>
5. 대리석의 벽속<영국>
6. 기러기(歸雁)<독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