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김정희(1786~1856)는, 18세기 말에 태어나서, 19세기 外戚勢道 政治期에 활동한, 모름지기 朝鮮王朝 최고의 書藝家로서 藝術家이다. 다음은 추사 김정희의 예술세계에 관하여, 김영한, 정인보, 신석희, 남병길, 민규호, 민노행 등이 기술한 몇 편의 기록이다.
아래의 기록 중에도 기술되었지만, 김정희가 流配의 삶을 살게 되는 情況을 살피면, 조선왕조의 政權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이데올로기가 얼마나 强固한 것인지를 익히 짐작할 수 있다.
추사는 기존의 性理學的 지배 이데올로기에 비판적이었다. 性理學이란 기본적으로 명나라의 통치 이데올로기다. 반면에 추사는, 北學派 朴齊家에게서 학문을 전수받음으로 인해, 중원벌판에서 새로운 覇權으로 자리매김한 청나라의 고증학적 이념체계를 모색하였다. 그런데 설령 그렇다고 해도, 추사 역시 중국에 대한 事大主義를 기반으로 하므로, 철저히 중국의 ‘것’을 苦心할 따름이다.
여하튼 이러한 流配的 체험이 추사의 예술세계를 더욱 심오하게 完熟시켰을 것임은 두말 할 나위 없다. 예컨대, 제주도 유배로써 秋史體가 완성되었음이 바로 그러하다. 이에 추사체는 추사 김정희의 삶 자체의 예술적 品格이 하나의 예술작품으로서 顯現되었다고 할 것이다. 그러니 비단 추사체에 의해 제작된 예술작품만이 아니라, 추사체 그 자체가 곧 예술작품이라고 해야 한다.
추사는 學術辨에서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학술이 天下에 있어, 수백 년을 지나면 반드시 변하게 되는데, 그것이 장차 변하려 할 적에는, 반드시 한두 사람이 그 단서를 엶에 따라, 천백 사람이 시끄럽게 그것을 공격하게 되고, 그것이 이미 변한 뒤에는, 또 한두 사람이 그 이룬 것을 한데 모음으로써, 천백 사람이 모두 그것을 따르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대체로 시끄럽게 그것을 공격할 적에는, 온 천하 사람이 학술의 서로 다른 것을 보게 되므로, 그 폐단이 드러나지 않지만, 모두가 그것을 따를 적에는, 천하 사람이 학술의 서로 다른 것을 보지 못하므로, 그 폐단이 비로소 생기는 것이다.
그런데 그때를 당해서는, 반드시 한두 사람이 그 폐단을 바로잡아, 의연히 이를 견지하게 되고, 그 변한 것이 이미 오래됨에 미쳐서는, 국가를 소유한 자가 法制로 얽어매고, 利祿으로 유인하여, 아이들은 그 학설을 익히고, 늙은이들은 그것이 그른 줄을 모름으로써, 천하 사람이 서로 그것을 편히 여기게 된다.
그러다가 천하 사람이 그것을 편히 여긴 지 이미 오래되면, 또 어떤 사람이 일어나서, 그것을 변개시킬 것을 생각하게 되는 것이니, 이것이 천고 이래 학술 변천의 대략이다.
…아, 학술이 변할 때에 당해서는, 천백 사람이 시끄럽게 공격하는데, 그들은 모두 용렬한 위인들이고, 학술이 이미 변한 뒤에는, 또 천백 사람이 모두 그것을 따르는데, 그들 또한 용렬한 위인들인 것이다. 그렇다면 그 폐단을 바로잡아 꿋꿋하게 견지할 자가, 그 누구란 말인가.”
여기서 학술이라고 하는 것은, 일종의 이데올로기다. 조선왕조야말로 학술을 통치 이데올로기로 삼은 대표적인 政體이다. 그런 학술 자체가 그릇될 것은 없지만, 그것이 어떤 權力體로서 작동하게 될 때, 부득이하게 이데올로기적 폐해가 발생케 됨을, 추사는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폐단이 될만큼 권력적이지 못하다면, 애당초 그 학술은 정립될 수 없다. 이야말로 不得已다.
추사는, 그런 학술의 기묘한 이데올로기적 權力機制를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21세기라고 해서 별다를 게 없다. 예컨대, 현대의 대한민국의 경우, 자유민주주의를 多數決의 集團쯤으로 誤解하는 事態가 그러하다. 輿論이란 것은 실상, 추사의 분석처럼, 자기의 이득을 좇아 용렬하게 작동하는 기괴한 集團的 時流일 따름이다.
變化와 衝突의 시대라면, 응당 그러한 弊端이 확연히 드러나기 마련이다. 그런데 흔히 集團의 決定이란 것은, 이데올로기적이기 십상이다. 그런 탓에, 추사 역시 유배의 삶을 살아야만 했다. 그러나 추사는 결국 자기의 길을 간다. 실상 권력으로부터 流離되어버린 상태에서, 추사가 선택할 수 있는 길은, 그것뿐이었을 것이다.
-하략-